윈도우에서 원드라이브 동기화 끄는 방법 – 느려진 PC 속도를 되살리는 가장 쉬운 방법

요즘 PC 속도가 눈에 띄게 느려졌다면, 배경에서 자동 실행되는 클라우드 앱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Microsoft OneDrive는 부팅 시 자동 실행되며 백그라운드에서 동기화를 진행합니다.

처음에는 편리하지만, 특히 저장 공간이 부족하거나 인터넷 속도가 느릴 경우 오히려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간단하게 동기화만 끄거나, 앱 자체를 제거하는 방법은 없을까요?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OneDrive 동기화를 완전히 비활성화하는 3가지 스마트한 방법을 소개합니다.


📌 1. 동기화 일시중지 – 순간적인 대역폭 제어

영상 업로드, 대용량 다운로드 중이라면 일시적으로 원드라이브 동기화를 끄는 것만으로도 네트워크 속도가 달라집니다.
방법: 우측 하단 원드라이브 아이콘 → 설정 → 동기화 일시 중지 (2~24시간 선택)


📌 2. 계정 연결 해제 – 파일은 유지하고 동기화만 중단

클라우드와 로컬 파일이 따로 노는 느낌? 그렇다면 연결 해제를 고려해보세요.
이 방법은 앱을 삭제하지 않아도 되고, 나중에 다시 로그인하면 언제든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드라이브 아이콘 → 설정 → 계정 탭 → “이 PC 연결 해제”


📌 3. 완전 삭제 – 더 이상 원드라이브가 필요 없다면

Microsoft OneDrive는 윈도우 시스템에 내장된 앱이지만, 일반 프로그램처럼 설정 > 앱 > 설치된 앱 > 제거 경로를 통해 삭제할 수 있습니다.
삭제 후에는 폴더 경로 C:\Users\계정명\OneDrive도 정리해주면 더욱 깔끔합니다.

단, Windows 업데이트나 Office 설치 시 다시 설치될 수 있으므로 주기적인 확인이 필요합니다.


💡 자주 묻는 질문 정리

  • Q. 동기화 끊으면 클라우드 파일도 삭제되나요? → 아니요. 안전하게 보존됩니다.
  • Q. 삭제했는데 왜 자꾸 다시 설치되죠? → Windows 시스템 업데이트 때문일 수 있습니다.
  • Q. 바탕화면만 동기화 해제하고 싶어요 → 폴더 선택 기능을 이용하세요.

PC 최적화를 원하면서 원드라이브가 불필요하다고 느껴진다면, 이번 가이드를 꼭 참고해보시기 바랍니다. 아래 포스팅에 자세하게 정리해두었습니다.

https://itmanual.net/원드라이브-동기화-해제-3가지-방법/

 

OneDrive 원드라이브 동기화 해제 및 삭제, 일시중지 3가지 방법 총정리 - IT매뉴얼

원드라이브 동기화 해제 및 관리 3가지 방법을 총정리했습니다. 잠시 멈추는 '일시 중지', PC 연결만 끊는 '동기화 해제'(권장), 그리고 프로그램을 완전히 지우는 '삭제' 방법의 차이점과 설정법

itmanual.ne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