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 시간 계산 오류 해결법 – 24시간 넘는 합계가 2시간으로 나오는 이유와 해결법
- IT사용법 및 노하우
- 2025. 10. 26.
엑셀(Excel)은 시간 단위로 업무를 계산할 때 매우 유용한 도구입니다. 출퇴근 시간 기록, 프로젝트 소요 시간 관리, 야근 시간 정산 등에서 많은 직장인들이 엑셀을 활용합니다.
하지만, 정작 “합계”를 낼 때 엑셀이 엉뚱한 값을 보여줘 당황했던 경험, 한 번쯤 있으시죠?
예를 들어,
- 21시간 + 5시간을 더했는데 결과가 26시간이 아니라 2시간으로 나오는 현상
- 누적 시간이 **자정(24시간)**을 넘으면 계산이 꼬이는 문제
이건 엑셀이 시간 데이터를 “소수점 숫자”로 인식하기 때문입니다.
엑셀은 24시간을 숫자 1로 보고, 12시간은 0.5, 6시간은 0.25로 계산합니다.
따라서 아무리 합이 30시간이더라도, 기본 시간 서식에서는 “6시간”만 보이게 되는 겁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는 핵심은 셀 서식 변경입니다.
셀 서식을 [h]:mm으로 설정하면 24시간이 넘어도 실제 누적된 시간을 그대로 보여주게 됩니다.
예시:
- 기본 서식: 26시간 → 2:00
- 사용자 지정 서식 [h]:mm: 26시간 → 26:00
또한, 급여 계산 등 시급 환산이 필요할 경우에는 시간값에 24를 곱하여 소수점으로 변환하는 것도 실무에서 많이 쓰이는 노하우입니다. 예를 들어, = (종료시간 - 시작시간) * 24를 사용하면 “8:30”이 “8.5”로 변환되어 곱셈이 가능해집니다.
실제로 많은 직장인, 프리랜서, 인사 담당자들이 이 문제로 고생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기본 원리와 셀서식만 이해하면 1분 만에 해결 가능합니다.
더 많은 예시와 자주 묻는 질문(야간 근무, 자정 넘김, ##### 오류 등)을 포함해,
엑셀 시간 계산 문제를 완벽하게 해결할 수 있는 가이드를 아래 포스팅에서 정리해두었습니다.
https://itmanual.net/엑셀-시간-계산-방법-엑셀-시간-더하기-합계/
엑셀 시간 계산 방법, 엑셀 시간 더하기 합계 문제 쉽게 해결 1분내 해결 - IT매뉴얼
엑셀 시간 계산 시, 합계가 24시간을 넘으면 엉뚱한 값(예: 26시간이 2시간으로)이 나오나요? 셀 서식 때문입니다. 셀의 표시 형식을 '[h]:mm'으로 변경하여 24시간이 넘는 시간 합계를 정확하게 구하
itmanual.net
'IT사용법 및 노하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갤럭시에서도 에어팟을? 블루투스 연결 꿀팁 + 이름 변경, 해제까지 완벽 정리 (0) | 2025.10.27 |
|---|---|
| 윈도우에서 원드라이브 동기화 끄는 방법 – 느려진 PC 속도를 되살리는 가장 쉬운 방법 (0) | 2025.10.27 |
| 파워포인트 세로 설정 완벽 가이드: 인쇄물과 웹 콘텐츠 제작 필수 팁 (0) | 2025.10.23 |
| 한글파일(HWP) 워드로 변환하는 법 – 프로그램 없이 10초 만에 끝내는 방법 (0) | 2025.10.23 |
| 인스타그램 프로필 깔끔하게 정리하는 법: 스레드 배지 숨기기부터 계정 비활성화까지 (0) | 2025.10.23 |